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2019 해상교량 국제심포지엄 논문접수
심포지엄 개요
2019년 10월 24일(목)-25(금) 전라남도청 김대중 강당에서 2019 해상교량 국제심포지엄이 개최됩니다. 심포지엄의 주요 주제는 현재 국내외 해상 기반시설 기술과 해상교량의 경제, 사회 문화적 가치에 대한 것과 더 나아가 해상 기반시설의 스마트 미래기술을 다룰 예정입니다.
다음의 3가지 주제를 중점으로 진행될 것입니다.
§ (주제 Ⅰ) 해양 횡단 인프라 기술의 글로벌 트랜드
§ (주제 Ⅱ) 해상교량의 경제, 사회, 문화적 가치창출
§ (주제 Ⅲ) 해상 인프라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 미래기술
심포지엄 프로그램
2019.10.24.(목)
|
11:00-12:00
|
|
교량 모형 경진대회 참가자 교육
|
12:30-13:30
|
등록(Registration)
|
참가자 중식
교량 모형 제작
|
13:30-14:00
|
개회식(Opening Ceremony)
|
14:00-15:30
|
주제발표Ⅰ 해양 횡단 인프라 기술의 글로벌 트랜드
(SessionⅠ Global Trends in Sea-Crossing Infrastructure Technology)
|
15:30-16:00
|
휴식(Coffee Break) & 포스터세션, KIBSE 우수구조물 및 교량 모형 전시 관람(Exhibition)
|
16:00-17:30
|
주제발표Ⅱ 해상 교량의 경제, 사회, 문화적 가치창출
(Session Ⅱ Socioeconomic and cultural values of island to inland connections)
|
17:30-17:50
|
시상식 및 기념촬영(Award Ceremony and Photo Session)
|
18:00-19:00
|
리셉션(Welcome Reception)
|
2019.10.25.(금)
|
08:30-09:30
|
등록(Registration)
|
09:30-11:10
|
주제발표Ⅲ 해상 인프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스마트 미래기술
(Session Ⅲ Smart operation of sea-crossing infrastructures in the digital era)
|
11:10-11:30
|
휴식(Coffee Break) & 포스터세션 및 교량 모형 전시 관람(Exhibition)
|
11:30-12:00
|
포스터논문 & 1분구두발표
|
12:00-12:30
|
Symposium Wrap-up report
|
폐회(Closing Ceremony)
|
12:30-13:30
|
중식(Lunch)
|
13:30-16:30
|
현장견학(Technical Tour) *천사대교, 칠산대교 견학 예정
|
Call for Papers
이번 심포지엄에 발표할 논문을 모집합니다. 제출된 하나의 논문은 선정과정을 거쳐 포스터전시 및 1분구두발표 두 가지 방법으로 함께 소개됩니다. 포스터세션 & 1분구두발표를 원하는 참가자는 2019년 10월 14일까지 교량 및 구조공학 관련 2페이지 논문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. 2페이지 논문양식은 학회(www.kibse.or.kr) 또는 심포지엄 홈페이지(www.2019issb.org)에서 다운로드하여 이메일로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.(2019issb@kibse.or.kr) 참가자는 반드시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 회원이어야 하며, 제출된 논문들은 위원회 심사과정을 거쳐서 포스터, 1분 구두발표, 우수논문상으로 선정됩니다.
Important Dates
초록 제출 기간: 2019년 10월 14일(월)까지
논문 결과 통보: 2019년 10월 18일(금)
포스터 세션: 2019년 10월 24일(목)
1분구두발표: 2019년 10월 25일(금)

Poster Session & 1 Minute Oral Presentation
- 2페이지 논문과 포스터는 영문으로 작성되어야 하며, 1분 구두발표도 영어로 진행됩니다.
- 1분구두발표논문은 위원회 심사 결정에 따라 배정 됩니다.
- 발표 시간은 1분이며, 포스터 및 발표 자료는 지정된 PPT양식을 활용합니다.
- 발표된 논문 중 우수논문 10편 이내를 선정하여 ‘해상교량 국제심포지엄 논문상(2019 international symposium on sea-crossing bridges best paper awards)’으로 시상합니다.
|